ioioio 대안영상문화발전소 아이공 i空(共)ioio
ioioio 대안영상문화발전소 아이공 i空(共)ioio

 

 

 

  
미디어극장 아이공
  i-空(共), Media Theater

 
  사)대안영상문화발전소 아이공  iGong  
  소개 & 연혁  

  미디어극장 아이공  Media Theater i-Gong

 
  전시/상영 프로그램  

  교육학술 프로그램

 
  대관신청하기  

  회원 Membership

 
  아이공 관객회원  
  아이공 후원회원  
  아이공  i-Gong INFO  
  공지사항  

  오시는 길

 

  자유게시판

 

  서울국제뉴미디어페스티벌
  Seoul International NewMedia Festival

  페미니즘비디오액티비스트비엔날레2010
  Feminism Video Acitivism Biennale2010

  대안예술아카데미+스페이스 아이

 

  웹진대안영상

 
메일링 리스트 가입하기
igong@list.jinbo.net 아이공소식
 
 
 

y

 

 

159
158
157
156
155
154
153
152
151
150
149
148
147
146
145
144
143
142
141
140
1 2 3 4 5 6 7 8

[컬처타임] 여성, 섹슈얼리티, 비디오

여성주의 비디오 아티스트 린다 벤글리스 회고전

 

▣ 신윤동욱 기자 syuk@hani.co.kr

 

그는 여성주의 이론가이자 조각가이자 비디오 아티스트였다. 바야흐로 당시는 여성주의가 세상의 주목을 받기 시작하고, 새로운 미디어 운동이 시작되던 1970년대였다. 여성주의 조각가였던 린다 벤글리스가 비디오카메라를 들고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영상으로 담기 시작한 것은 이러한 시대의 기운과 무관하지 않다. 70년대 여성주의 비디오 운동에서 빠질 수 없는 인물인 린다 벤글리스 회고전이 6월28일부터 7월8일까지 서울의 대안영상문화발전소 아이공에서 열린다. 지난 5월에 열렸던 ‘트린 T. 민하’ 전에 이어 아이공이 두 번째로 여는 회고전이다.


 

 

이번 회고전에서는 비디오 작품 14편이 소개된다. 먼저 여성주의 담론이 예술적 실천으로 나타난 작품인 <홈비디오> <여성의 감성> 등이 상영된다. 린다 벤글리스는 여성주의 작품과 함께 미디어의 한계를 비판하는 작품을 생산했다.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의 풍자를 통해 예술가의 도덕적 지위에 대해 이야기하는 <놀라운 바우와우> <도큐먼트> 등은 미디어 비판에 해당하는 작품이다. 여기에 비디오 이미지의 실험을 시도한 <콜라쥬> <불일치> 등의 작품이 더해져 린다 벤글리스의 작품세계를 다각도로 보여준다.

이처럼 린다 벤글리스는 비디오라는, 당시에는 새로운 매체를 통해서 여성의 섹슈얼리티를 영상으로 옮기는 실험을 했을 뿐 아니라 비디오가 가진 ‘실재의’ 시간에 대한 감각이라는 특권적 특성에 대해서도 비판하고 저항했다. 당시에는 치열한 논쟁의 대상이었고, 이제는 여성주의 예술의 고전에 오른 작품을 감상할 드문 기회다. 입장료 일반 5천원, 장애인·청소년·단체(20인 이상) 3천원. 문의 02-337-2870. 홈페이지(igong.org)에서 상영 일정을 확인할 수 있다.

 


  
쓰기 목록

 

 

  홈  |  알림-새소식  운영자에게 메일보내기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  사이트맵  

 

 

 

  대안영상문화발전소 아이공 홈페이지는 정보를 나눕니다.

NO COPYRIGHT! JUST COPYLE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