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oioio 대안영상문화발전소 아이공 i空(共)ioio
ioioio 대안영상문화발전소 아이공 i空(共)ioio

 

 

 

  
미디어극장 아이공
  i-空(共), Media Theater

 
  사)대안영상문화발전소 아이공  iGong  
  소개 & 연혁  

  미디어극장 아이공  Media Theater i-Gong

 
  전시/상영 프로그램  

  교육학술 프로그램

 
  대관신청하기  

  회원 Membership

 
  아이공 관객회원  
  아이공 후원회원  
  아이공  i-Gong INFO  
  공지사항  

  오시는 길

 

  자유게시판

 

  서울국제뉴미디어페스티벌
  Seoul International NewMedia Festival

  페미니즘비디오액티비스트비엔날레2010
  Feminism Video Acitivism Biennale2010

  대안예술아카데미+스페이스 아이

 

  웹진대안영상

 
메일링 리스트 가입하기
igong@list.jinbo.net 아이공소식
 
 
 

y

 

 

  
TITLE(K) 평범하지 않은 평범
TITLE(E) Ex/Ordinary
DIRECTOR 정호현
ADDITION 1999 | 60min | Korea | Color/Stereo | Documentary
CATEGORY 작가기획전 상영 2009
SYNOPSIS

DIRECTOR’S NOTE
우리는 이 작품을 통해, 보수적인 성적 규범과 개방적인 사고가 혼재해 있는 현재 우리 사회의 이중적인 성적 현실 속에서, 여성이 어떻게 자신의 성적인 주체성을 형성해갈 수 있는가 하는 문제에 관해 이야기하고자 한다. 우리 사회의 이중적인 성적 현실이라고 하면, 슈퍼모델 선발대회나 미스코리아 대회 등을 통해 여성의 육체를 끊임없이 성적으로 대상화하고 육체의 섹시함을 여성의 가치를 판단하는 유일한 기준으로 삼고 있는 한편, 여성은 성에 관해서는 아무것도 모르는 것처럼 성적인 경험이 전혀 없는 것처럼 행동하도록 만드는 현실을 말한다. 또, 연애를 하게 되면, 많은 수의 남성들이 성적인 관계는 사랑하는 사이에서라면 의레 따라와야 하는 자연스러운 것으로 생각하는 한편, 여성들은 비록 비슷한 생각을 갖고 있다고 하더라도 기존의 순결 교육이나 순결 이데올로기에서 주입 받아온 '순결을 잃는 것'에 대한 공포감이나 죄책감을 겪게 마련이고, 임신을 하게 될 경우 받게 될 사회적인 비난과 처벌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을 말한다.

 

SYNOPSIS
여성으로서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세 여자의 1년을 담은 다큐멘터리. 중학교 3학년 여학생, 20대 후반의 초등학교 영양사, 여성학 전공 대학원생. 이 세 여성과의 인터뷰를 담은 이 영화는 표면적으로 느낄 수 있는 경쾌한 리듬과 달리 결코 가볍지 않은 주제를 다루고 있다. 이들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성이 인간관계의 영역이자 자유의지의 영역이며 무엇보다 권력의 영역임을, 우리 사회 내부에 깊숙이 관습화되어 있는 성 관습의 파시즘적인 요소를 통해 직시하게 된다.

 

FESTIVAL & AWARDS
2000 제1회 전주국제영화제 상영
2000 인디 다큐페스티발 상영
2000 일본/한국 여성다큐멘터리 상영 (오사카 돈 여성센터주체)
1999 제1회 서울 다큐멘터리 영화제상영
1999 YIDFF 야마가따 국제영화제 상영

 

PROGRAM NOTE
감독은 여성으로서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세 여성의 1년을 기록하였다. 지금 이곳에서 여성들이 생각하고 이야기하는 성에 관한 보고서. 밖으로 언어화되지 못했던 성에 관한 여성들의 솔직한 생각들을 들을 수 있다. <평범하지 않은 평범>은 `여성이 어떻게 자신의 성적 주체성을 형성해나갈 수 있는가'하는 문제를 중학교 1학년 정정아양과 서울의 한 초등학교 영양사인 정은수씨, 대학원에서 여성학을 전공하는 홍상은씨를 통해 조명한다. 다큐멘터리 전문제작 단체 A-TV 제작.
여성으로서의 정체성을 찾아가는 세 여자의 1년을 담은 다큐멘터리. 초등학교 영양사인 은화, 중학교 1학년생 정아, 수의학과를 졸업하고 여성학을 전공하는 지혜의 이야기를 번갈아 들려준다. 서로 다른 연령층과 성장배경을 지닌 이들의 성과 사랑에 관한 고민을 인터뷰 형식으로 담아냈다. 이들은 가감 없이 자기 얘기를 털어놓는다. 이들이 들려주는 이야기는 사적인 경험에 기초한 것이지만, 동시에 우리 사회의 보수적인 성문화와 남녀 관계를 반사해낸다. 단편영화의 소재가 점점 우리의 일상과 가까워지는 경향을 보여온 것처럼, 이제 다큐멘터리도 개인의 삶에 시선을 맞추기 시작했다. 이 다큐멘터리는 그런 맥락에서 주목할 만하다. (씨네 21, 202호)

 

INFOMATION
쓰기 목록   답글
NO TITLE(K) TITLE(E) DIRECTOR ADDITION
64
텔레비전에, 정말 좋겠네
That is great, I appear in television
이윤정 16mm | color | 4min | experimental drama
63
Funeral
Funeral
이윤정 MiniDV / super 8mm | 4min | documentary/drama
62
오, 사랑스런 처녀
O Sweet Virgin
이윤정 16mm | color | 19min | musical
61
바르다 단편2 섹션
Les courts contestataires ㅣ Les courts parisiens
아네스 바르다 프랑스ㅣ1967~1975 | 1961~2003 I 120' | b&w color
60
바르다 단편1섹션
Les courts touristiques I BONI
아네스 바르다 프랑스ㅣ1957~1976, 1983 | 99' | b&w color
59
시네바르다포토
CINEVARDAPHOTO
아네스 바르다 프랑스ㅣ2004년| 96'ㅣcolor
58
아녜스 바르다의 해변
The Beaches of Agnès
아네스 바르다 프랑스 | 2008 | 110' | Digi-beta | color | 자전적 다큐
57
방랑자
Vagabond
아네스 바르다 프랑스 | 1985 | 105' | 35mm | color
56
노래하는 여자, 노래하지 않는 여자
One Sings, the Other Doesn’t
아네스 바르다 프랑스 | 1976 | 120' | 35mm | color
55
행복
Happiness
아네스 바르다 프랑스 | 1964 | 82' | 35mm | color
21 22 23 24 25 26 27

 

 

  홈  |  알림-새소식  운영자에게 메일보내기  |  이메일주소 무단수집 거부  |  사이트맵  

 

 

 

  대안영상문화발전소 아이공 홈페이지는 정보를 나눕니다.

NO COPYRIGHT! JUST COPYLEFT!